• 2430阅读
  • 24回复

听写国际广播电台朝鲜语

级别: 管理员
1 글씨크기:

http://korean.cri.cn/

베이징조선족기업인친목회 정식 설립
http://korean.cri.cn/1620/2011/06/14/1s173444.htm


베이징조선족기업인친목회 정식 설립2011-06-14 13:32:08 cri


MC: 중국 조선족 기업인들은 개혁개방의 물결을 타고 중국 동북 3성의 변강 지역으로 부터 전국 방방곡곡으로 진출하기 시작했습니다. 30여년래 베이징에 있는 조선족 기업인들은 중국의 번영과 발전, 그리고 베이징시 건설에 힘을 이바지했을 뿐만 아니라 사천 문천대지진, 길림 홍수피해 등 자연재해 극복에서도 기업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했습니다.

sai li ge tao trn seng cuo seng zong,sai lai bu da ea xi mi ga,geng zong ce li mi da,
ea ni ea sai yao ,yin gong hai mi da,
cong guo zuo san zou,kei yao bin de lin kei yao gai bang eai wen gai de ta guo ci ,cong guo kong bu kang sang eai tong gang ji yao bu luo bei tuo,cong guo pang gang bu guo wo qi cu da di qi da kai si mi da.
da kai si mi da.
cang qi biao dao lai pai ji ai leng zuo san zuo baio bing de lei,yao qiu gai tao liang gua ba er ceng hei guo,bei jing xi gun cu lai xi men yi ba ci kei ci ha mi da.
ca ceng wong ceng dai ji zeng,gei lin feng cu pi ai deng,za yang zai kai gei bo gei sa bao,gei yao gei de luo si gai ,ca er zuo ce de da er si mi da.


올해는 중국공산당 창건 90돌 되는 해이고 또 국민경제와 사회발전 제12차 5개년계획을 수행하는 첫해이기도 한데요. 이 뜻깊은 해에 베이징 조선족 사회에도 경축할만한 일이 생겼습니다. 바로 베이징 조선족기업인연의회가 성립된 것입니다. 지난 8일, 베이징 왕징에서 <베이징 조선족기업인연의회> 성립 대회가 개최됐습니다.

ke de si mi da,wo de nai ,wo de nai jiong guo gong can dang can guan ang heng duo lei hai guo duo,
hong ming geng jie wa ca yue bar zeng qie xi bi ce ,ou gei nen kei yue gai sun ye han nei ce kei gei du han dai yao.
yi dei gei peng hai yai bei jing zuo san zou ca yue er dao,keng cu kai mai la ni di ceng ge si mi da.
dai,gu li gei na li da de, you bei jing zuo san zou kei yao bin qin me kei ga pai zuo kei mi ge xi mi da.
lai ,dai qi nan ta dian bei jing wang ji ye sa bei jing zuo san zou,gei yao bin ceng me kei cui li bei hai da kai cu dai si mi da.
ca gai seng huan er yi ci gan ce sun cu le yi wan guang na lu ga jie lou,ya ge lei la mu duo dao ka ni si mi da.
jin luo ge tao,bei jing zuo san zou gei da yang mi guai, seng mi dai kuai lai, sang ca gai si mi da.
ying ji zuo san zou ji ye bi, ji ye bi mie lie cang di wui,
cong xi ma jie lun cong ga dai ro ding ben da,ha zeng,
yi er san,wei ren min fu wu, gan bei,


음향1: 현장음

MC: 이날 행사에 본 방송국 조옥단 기자가 다녀왔는데요. 조옥단 기자 어서오세요.
yi na yi hen ce yi pei peng song gu cu gu cu dan gei sai ta li wa nei dai yao.cu dan ji zan ao cao sai yao.
ao cao sai yao.

기자: 네, 안녕하세요. 조옥단입니다.
nai a ni ea sai yao,cu ga ni mi da.

MC: 베이징 조선족기업인연의회, 참 조선족 사회에서는 큰 경사라 할수 있는데요. 이 단체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해 주시죠.
ai, bei jing zuo san zou gei yao bin ji me yao zi,zang zou cong zou ca wei cuo duo kei geng ca luo guo hai si wei jing kai si mi ga?
nai ke de qiao.
nai yi pang cai dai suo you kang da la gai sei zong han ,nai na jiu guan kei si mi da,

기자: 베이징 조선족기업인연의회는 외교부 산하의 중일한 경제발전협회 소속의 비영리적 민간단체입니다. 이것은 조선족 기업인 단체로는 베이징에서 처음이자 유일한 단체입니다. 주로 베이징에 거주하는 회사법인, 중외기업의 중, 고급 경영관리자 등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조선족 엘리트들을 창립 회원으로 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사람들이 이 단체에 가입하길 희망한다고 합니다. 이날 행사에는 이덕수 중국 정협 상무위원, 정로 중국 정협위원, 김의진 베이징 조선족기업인연의회 회장을 비롯한 약 300명의 인사들이 참석했습니다.

bei jing zuo san zou gei yao bin qi me ken de niang,gei jiao wu ca na ai jong ni dan tong cai ban jeng qiu pa sa suo gai,bi yong bi zuo gai ning gan tan cai mi da.
zuo san zou gei yao bin dan tan qie de nin pei ji nie sao cou mi za,
you yi dan tan ce mi da,
ao ju luo bei jing ye gao zu ea nen hai sa bao bin na,gong nai yue ji yao bie cong guo gu geng niang ga li za,deng keng ji huai dong ye zuo san nin zuo san zou ai li tu de lin cang gei pi ao nei luo ha guo yi si mi yao.
guan pu eua de tao han ning cai dang de li ,yi gan cai ka yi pai ce mang ni mi da,
huan ying na heng cai nin yi dao su zong guo zong xiao can hu yi wen,a zong guo jong guo zong xiao bi wen,ji mi jing bei jing zuo san zou gei yao bin qi me kai cuo dai hai sang mi bi luo tan,ya sang bin eng eai yin sa li di li cang sa gai si mi da.

MC: 네. 그렇다면 이런 단체가 탄생하게 된 계기는 무엇일까요?
nai, ke lei tai mi lun tan qie ga pai zuo dun kei ji lun bo xi ga yao?

기자: 그 점에 대해서는 김의진 조선족기업인연의회 회장님이 소개해 주셨는데요. 함께 들어보시죠.
nai,ke zuo mi dai sao nen gei mi jin zuo san zou ji yao bin qi me ke he zang yi suo gai sao zi en dai yao.
han gai fei luo wo xi jiao.
ai ke le ji ha du lou ke gai si mi da.

김의진 회장

음향2: 김의진 회장님
gai ge kai fang yi lai.qi se yong dong de jing ji da cao,

"개혁개방 이래 중국의 조선족들은 경제발전의 물결을 타고 뛰어난 경제적 촉감과 용감한 창업 정신으로 동북지역의 농촌, 공장, 그리고 학교에서 경제가 상대적으로 발달한 연해도시, 나아가 수도 베이징에 까지 진출했습니다. 베이징의 조선족들은 30여년간의 끊임없는 노력을 거쳐 처음에는 간단한 요식업 또는 전통 복장업에 종사하던데로 부터 지금은 제조업, 부동산, 금융, 국제무역, IT업, 문화산업 등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불완전한 통계에 따르면 현재 베이징에서 생활하고 있는 조선족 인구는 10만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기업인 등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인사들도 만명이 넘는다고 합니다. 이런 배경하에 베이징 조선족 기업인연의회가 설립된것은 우연이 아니며 베이징에서 생활하고 있는 조선족 사회 각계 인사들의 바램이고 이 시대 발전의 필연적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ai yao gai bang ei lai cong gu gai zuo san zou ge lin,gong ji ba ze nai wu ei ge zei ta gong,du yao nan tong ji zi gang ga ji wa yong ge man cang ge zeng qi lou,tong bu jiao gai nong cun gong zeng, ge li wa ha ge yi sao,geng jie ga ceng dai wu gu lu bei da na yiu nai du xi,na ga su du bei jing yai ge ji jin cu yai si mi da,bei jing eai zuo san zou ge lin yi sa,cang qi biao niang ge nai ge ni me men dou de wei ge qiao,cao ao mei nan you qi gou,bu nen zen tong bu zeng ea bi zong si ha din die luo bu tong,jie ge men qie zuo bu dong seng geng yong,zai mu you ai ti you,mu na sa nan deng da ya an de zuo mie zong cao guai si mi da,
bu zhuan zi nan tong gai da de mi eng,deng zai bei jing yi suo can guan le wen nei zuo san zou ying gu nen,xin man nian nei neng mu cuo gui si miao,ji yao bin deng jong jie hua dong ye tong sa na ning sa dei,duo ma miang en de men da euo mi da.
yi lun bai geng ha yai,bei jing tuo san zou gei yao bin qi me kui ga sei le deng ge sen wu yao niang de miao,bei jing ye suo can guan wa wei nin,zuo san zou ca yue ga gen yi se deng pai de lai mi guo,yi qi lai pai zuo nai pi lun zuo tei le guo xiao mi ga?
nai ,xi die pai er zuo nai su yao yi bao ke er bao er yao na ma er ta ma mi wa da si mi ga?
MC: 네, 고향을 떠나 전국 방방곡곡에서 또한 수도 북경에서 까지 백수성가 하시고 이렇게 큰 성과를 이룩하신걸 보면 진짜 대단하신것 같습니다.
nai,guo xia enei duo na suo suo,su duo pei ji ye ga ji jin cu lai suo you ei si mi da guo ye en,zuo san zou gei yao bin na ge cang zang liang ceng si mi da,yi nai heng sai ceng su kan ceng luo cong gu cong ya bi yun duo suo,zuo ceng ze nao kei pian gai si mi da,nan ben te le ben ga yao.nai,
기자: 그렇죠. 이날 행사에 참석한 정로 전국 정협위원도 조선족 기업가들에 대해 높이 평가 했는데요. 함께 들어보시죠..
nai ge la qiao,

음향3: 정로 정협위원

"우선 조선족 형제들에게 경의를 표시합니다. 조선족은 개혁개방 30년래 연변, 동북, 나아가 전국의 경제 발전에 큰 공헌을 했으며 조선족 기업인들은 우리 나라 경제 업계에서 없어서는 안될 그런 존재입니다. 오늘 베이징 조선족 기업인들이 자체의 연의회를 건립했는데 앞으로 여러분들이 수도의 경제 발전, 또한 베이징의 경제 발전을 위해 더 큰 노력을 해야 한다는 책임감으로 더 큰 성과를 거두시길 바라겠습니다."

기자: 한편 김의진 회장은 베이징 조선족기업인연의회 발전 방향에 대해서 제시 했는데요. 한번 들어보시죠.

MC: 네, 그러죠.

음향4: 김의진 회장

"베이징 조선족기업인연의회는 앞으로 서비스형 그리고 학습형의 단체로 발전할 것이며 조선족 기업인들이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는 플랫홈으로 성장할 것입니다. "

MC: 서비스형, 학습형의 단체라…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다는 말씀인가요?

기자: 제가 알기로는 이 연의회는 산하에 기업건설 위원회, 시장 마케팅 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를 설치해 국가 산업 정책, 기업 전략, 기업 문화, 기업 융자, 마케팅 등 여러 방면의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인력자원 위원회에서는 조선족 대학생과 기업가들을 상대로 인력 파일을 만들 계획이라고 합니다. 인력자원 위원회는 이와같은 방식으로 기업에 인력을 지원하고 조선족 기업가를 배양하며 조선족 대학생들과 기업에 서로 교류할수 있는 플랫홈을 제공하기도 한답니다.


조선족기업인친목회 설립대회 현장

MC: 그것참 좋은 소식이네요. 요즘 대학생들의 취업 또한 어렵잖아요. 조선족 대학생들이 창업에 대한 이해를 더 깊게 하고 또한 좋은 회사에 취직할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것 같네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향후 이 연의회는 재북경 조선족 기업인, 그리고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조선족 인사들을 응집시킬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서로의 교류와 협력을 적극 추진하는데 큰 힘이 될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날 표성룡 전국 조선족기업가협회 회장과 월드 옥타(세계해외한인협회)의 남룡해 회장도 행사에 참석해 연의회의 설립을 축하했습니다. 함께 들어보시죠.

음향5: 표성룡 회장

"북경 조선족기업인연의회 성립대회가 열린데 대해 전국 조선족기업가협회를 대표해 진심으로 축하 드립니다. 앞으로 북경에 있는 조선족 기업인들이 더 발전하기 위해 서로 노력할거라 믿습니다. 다같이 힘을 합쳐 노력합시다."

음향6: 남룡해 회장

"시작이 반이라는 속담처럼 첫걸음이 중요한 것입니다. 오늘의 시작이 내일의 약속이고 내일의 약속은 또 우리 사업의 신념과 목표가 될것입니다. 북경 조선족기업인연의회는 앞으로 중국 경제 발전과 더불어 전 중국 조선족 기업의 핵심적 역할을 할것입니다. "

MC: 네, 베이징 조선족기업인연의회, 앞으로 베이징 조선족 사회에 큰 기여를 할수 있는 단체로 거듭나고 베이징에서 사업하고 있는 모든 조선족 기업가들을 아우르는 나아가 전국 조선족 기업계에서 구심점 역할을 할수 있는 그런 단체로 성장하기를 바라겠습니다. 좋은 소식 전해준 조옥단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기자: 네, 감사합니다.



행사 현장

wo sou xian yao biao da wo dui chao xian min zu xiong di men da di jing yi,
wu seng zuo san zou kong jie li gai geng mi lei tiao xiang mi da.
zuo san zuo gen gai yao gai bang cang qi mi lai,yan bian tong bu,na ga zeng gu gai kong jie ba ze nai ken gong he nei lai si miao,
zuo san zou gei yao bin de lin,eri na da dong jiao gai sao eao be sao sao li nan de i ke lin jong jiai mi da.
wo ei bei jing zuo san gei yao bin de lei qi me gai lei ga pen na den,a pu luo you la gong de lei,su du ai gong jie ba ze na lu ye dou,kun du gei hai ya hen de lin cai geng gan bu ao,dao kun cong gua lei ge de qu gei li ba de gai si mi da.
nai han ping ji mi ji ni hai san en bei jing zuo san zou,ji yao bin qi me kai pai zen pang yang eai dai suo duo qi ye yi ai men dao yao.
han ban tu luo wo xi jiao,
nai, ke de jiao.

chao xian zu qian xia na wei zu li hou,wo men nu li ba lian yi hui jian zuo ceng
zuo san zou gei yao bin qi me kei lun a po luo sa bi si xiong,ke li guo, ha ke si piao mie dan ci luo ban er ze na ge si miao,
zuo san zou gei yao bin de lei,suo luo gao lu ha guo xiong ye ke lin xiong mie ke lei pe lai pei lai ke me song zang na ge si mi da.
lai, se bi si xiang ha si ping eai tan ci la guo ma si mei ma si mi eli ha qiao la si mi ga?
lie ge la tan mai neng gu qi ze ge luo,deng si bi ce le qi zong hai si bi ga neng man si mi ga yao?
ou jie ga yi qi duo de niang,yi qi me kai neng na sa na ei gei yao gei sei yu yao nai,xi zang ma ke ting yu yao nai dong gei nia bi er yu yao nai sei qie sao,wo gu ga ce de zang cai gei yao cei lia ,ji yao mu na,jiao bi yao yong za ma kai ting dong yao de ba ma eai nai ceng guo de jie guo ha mi da.
duan ni liu zao wo nv er hai lun zuo san zou dei yao xiang gua ji yao ga gei dei lei san gai dou yi liao kuai dei man dei gei yue wua mi da,
yi liu zao wo nv er ai nun yi wa ga teng pang xi gu lou,ji yao bai yi liao gei ji wa na gou,zuo san zou ji yao ge lin tai ye eao miao,zuo san zou tai yao xiang de lei gua ji yao bai si lou,qiu dui er si mi nei tu lai tong mi ji wei ha wong da na mi da.
nai ,a gku ge can tong ea su xi gei nai yao,
nai ge si mi da,
you zong ga seng ge lie qie yao du ao du zan na yao,
ke de qiao,nai qi mi kei sang li bi zuo seng zuo kai sao,a seng ge li cang ea bai di hen yi hai dei dou gei gei ha guo,duo han bo ma hao de men tu wu nai sai yie tu ji ke er si di yi men,qing tu wong jue de qi gong ha xu ji gei ga nai yao,mai ge le si mi da.
tai hui qi me ke lin ce bu gen zuo sen zou kei yao bin ge li guo de,zong jing hai dong eai jong xia lin zuo san zou ying sa dei,gong ji qi kei si nan dai zuo wo ke lei hang sang na guo,cuo de ai jiao liu wa hang de wei zuo gei cu xi na nei dai,keng xi wei cai ge xi lao ce mang ze mi da.
ao yi nai piao cao yong zong gong zuo hei zao ji yao ga xiao piai hai sang gua wo li duo yi ka yai, na mi yong hai sai sang duo ,hai sai cang si kei,qi me kai ce li wen qu kai si mi da.
hai ga dui le wo xi ji yao.
dai,hai gai de le wo gai si mi da,

ying ji lin ju gei ma gai lin yin su,gei li di ying gei dai su,jong guo zuo xian diao gei you dai xian de,hai zan ma nei tai tai ai ou,ji xi mi luo tu kai dai li mi da,a pu luo yi ke lmi zuo san diao kei you bin de li,lou pei ji nei ha gei yue suo,suo luo luo zhe luo gu  ou, suo luo pei ji nai nen,gei zai suo gu jie ming jin xi zhuo mi guo yi si mi da,ta ga di xi mu la tuo luo la lang si da.
ji xa ni tei ba ni ra ni cu ga cei luo,wu bu duo de ceng ei ceng ge li mi ji ha mi da,wo nu li xi zai gen nei li ya zong gou,nei li ya song gou mi ca ji xing neng ga,mu ku ya cai ge song za,yi lan yi mi ai sai,ren zong en zao bi ya bin  yong ni ai en,a bu gou yong ji jing jiai tan sang gua zi bu zhao,zeng ju gu zuo san zao pi yai di ha ji pan lei ha ge xi mi da.
nai , bing jing zuo san zou kei ya bin ji me kei ya duo pei jing jing se sang zou sa gai kun kei yao de hai sen lei ta,fu qiai luo ge de na ge yao,
bei jing eai suo si ha pa gui neng,mao dun zuo san zou gei yao ga de lei,ao wo de nei , na ga cang gou ce hang zou ji yao gai se,gu xi en se mi yao ke de hai xi lun ke de an qie luo,ceng ceng ha ge lai ba de gai si mi da,lai zao zang ji za bu men cu ga za si mi da.
mai gang sang mi da.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24 发表于: 2011-07-31
24 글씨크기

중국소수민족방송사들, 귀주서 연례회의 진행2010-08-10 11:29:54 cri
http://korean.cri.cn/1660/2010/08/10/1s163315.htm

전국소수민족방송업계의 현 상태를 분석하고 미래발전을 구상하는데 취지를 둔 중국방송협회 소수민족프로 실무위원회 제3기 이사회 제2차회의 및 2010년 연례회의가 10일 중국 서남부의 귀주성 귀양시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대회에는 중국국제방송국, 중앙인민방송국을 비롯해 내몽골, 티베트, 신강 등 전국각지의 소수민족 방송사의 대표 40여명이 참가했습니다.  



회의는 지난 한해동안 소수민족언어방송의 발전과 성과 등에 대해 총화했으며 소수민족방송 이론연구, 우수프로그램 원고평의 등 분야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회의는 또 새로운 한해 소수민족방송의 발전을 위해 더 큰 활력을 부여하고 방송사들간의 협력과 소통을 한층 강화해 전반 사회경제발전을 위해 더 큰 발전을 할 것을 회원 방송사들에 요구했습니다.

이어 회의는 소수민족방송의 발전, 협력 등을 주제로 논문발표 시간도 가졌습니다.

이번 회의는 12일까지 진행됩니다.

(CRI특파기자 김동광)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23 发表于: 2011-07-31
23 글씨크기

제6회 "연길두만강상담회" 연길서 개최2010-09-01 10:07:50 cri
http://korean.cri.cn/1620/2010/09/01/1s164051.htm

개막식 현장

제6회 중국연길두만강지역 국제투자무역상담회(이하 "연길 두만강상담회"로 약함)가 지난 28일 길림성 연길시에서 성황리에 개막되었습니다. 이번 상담회는 두만강지역의 대외영향력을 한층더 확대하고 지역 이미지를 승화하며 길림성 장춘, 길림, 두만강지역의 개방을 가속화하기 위한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본방송국 박선화 기자가 이번 상담회를 취재했습니다. 그럼 [사회생활] 이 시간 첫 순서로 본방송국 박선화 기자가 작성한 관련 취재기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개막식 축하공연-러시아 댄스

(음향1: 개막식 축하공연 현장음 깔다가 점차 낮추면서...)

"연길 두만강상담회"는 연변주인민정부, 길림성 상무청, 길림성공업과 정보화청, 길림성 경제기술합작국, 길림성 무역촉진회에서 공동 주최하고 연길시정부에서 주관했습니다.



개막식 축하공연-상모춤


28일 개막식에는 베이징, 광동, 흑룡강 등 성과 시와 한국, 일본, 미국, 러시아, 조선 등 국가의 정부부문, 경제무역단체, 기업계 대표들이 참석하여 빛을 보탰습니다.

이룡의 연변주인민정부 주장은 개막식 축사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이룡희 연변주인민정부 주장

(음향2: 이룡희 연변주 주장 말-중국어)

더빙: "이번 회의의 개최는 연길시 대외개방수준을 더 한층 제고하고 연변과 동북아지역 각국간의 우호적 교류를 추진하며 연변경제의 쾌속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입니다."


이번 상담회는 경제무역박람회, 투자협력, 국제경제무역포럼, 민속관광문화교류 등 4개 부분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습니다.

그중 경제무역박람회는 개최이래 국내외 참가 기업들에게 새로운 투자기회와 판로개척, 자사 브랜드 해외 인지도 구축이라는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장을 마련해왔습니다. 또한 박람회마다 수많은 국내외 유명기업체와 영향력있는 상공인들을 한자리에 모이게 해 정보교류를 통해 상호간의 우의를 증진시키는 역할까지 수행해오고 있습니다. 금년 박람회에도 어김없이 국내외 우수업체, 바이어 및 정부관련 부서 등에서 많은 관심을 보였고 적극적으로 참여했습니다.



박람회 현장에서 참여업체들을 인터뷰하는 본 방송국 기자

(음향3: 박람회 참여 업체 소감말들)

"현지에 있는 연길시장업체하고 관계를 맺아서 중국제품도 수입하고 저희 제품도 수출하려고 합니다…"

"전에 생각할때는 사실 연길은 60만 인구여서 포항시랑 비슷한 수준이라 사람들이 많이 모일가 걱정도 했는데 예상외로 많이 와서 놀랐습니다."

"이곳 사람들은 매우 열정적이고 이번 박람회도 아주 멋지게 진행했다고 생각합니다. 서비스도 좋고 안보시스템도 잘 되었다고 느껴집니다."

"오늘 보니까 연길에서 이런 자리를 잘 마련해서 앞으로도 종종 이와같은 박람회가 진행되었으면 좋겠고, 저희 회사의 더욱 많은 제품들도 이 곳에 가져와 많이 활동했으면 좋겠습니다."

세계 각국 상공인 및 각계 각층의 인사들이 함께 참여하는 이번 박람회는 경제무역상담, 합작타진 등의 실질적인 많은 성과와 더불어 아름다운 지역문화를 즐기며 상호간의 교류를 진행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박람회 현장


제6회 "연길 두만강상담회"의 중요한 구성부분인 국제경제무역포럼에는 "중한 벤처포럼'과 "중한 IT포럼", "동북아무역발전포럼" 등 3개 포럼이 개최되었습니다.

그중 "중한 벤처포럼"은 한국벤처기업협회가 주최하고 연길 세계한인 벤처협회와 연변대학, 세계한인 벤처협회 총본부에서 주관한 것으로서 중국 길림성 연변지역을 중심으로 IT분야에 대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정보교류를 위해 2006년부터 개최해오고 있습니다.



중한 IT포럼 현장

이와 동시에 중한 두나라 IT산업계의 교류와 협력을 위한 "중한 IT 포럼"은 길림성공업과 정보화청, 연변조선족자치주 공업과 정보화국, 한국 지식경제부, IT 기업 등 관련 인사들이 모여 충분한 교류를 진행했습니다.

포럼에 참석한 길림성 공업과 정보화청 맹려 부청장은 축사에서 이렇게 표했습니다.

(음향4: 맹려 말)

더빙: "중한 IT포럼의 성공적인 개최는 쌍방의 IT산업계를 위해 교류와 협력의 플랫폼을 마련했고 쌍방 기업간의 협력을 추진했으며 길림성과 한국IT산업의 발전을 위해 큰 기여를 했습니다."



동북아무역발전포럼 현장

"중한 벤처포럼'과 "중한 IT포럼"외에 제6회 "연길 두만강상담회"의 새로운 내용으로 "동북아무역발전포럼"이 성황리에 개최되었습니다. 중국, 한국, 일본, 러시아, 미국 등 국가의 각계 인사들을 집결한 "동북아무역발전포럼"은 상호간 이해를 깊이 하고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는데 소중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국가경제체제개혁위원회 고상전 전부주임은 이번 포럼에 참석하게 된 기쁜 마음을 전하면서 동북아지역경제 협력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표했습니다.



국가경제체제개혁위원회 고상전 전부주임

(음향5: 고상전 말)

더빙: "저희는 '중국 두만강지역합작 개발전망계획요강'을 잘 실행하여 국경지역과 내륙복지의 우세를 상호보완, 공동 발전시킬 것이며 두만강지역 합작개발이 한층 높이 발전할 수 있도록 경험과 시범을 제공할 것입니다."

한편 이번 포럼에 참석한 한국 부산항만공사 중국대표부 박명철 대표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동북아무역발전포럼"이 동북아 각 지역이 충분히 교류협력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전했습니다.



본 방송국 기자(좌)와 한국 부산항만공사 중국대표부 박명철 대표(우)

(음향6: 박명철 말)

"지금까지는 동북아지역중 출구의 가능성이 있는 북쪽지역이 막혀 있습니다. 이런 기회를 통해 앞으로 점진적으로 중국과 러시아, 조선과 한국이 교류할수 있고 물류통로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박람회기간 참가자 인사들은 웅장하고 아름다운 장백산의 자연풍경과 다채로운 중국 조선민족의 민속풍습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협력의 플랫폼 구축, 지역 이미지 전시, 민족특색 강조, 공동발전 추진"에 취지를 둔 제6회 "연길 두만강상담회"는 두만강지역 아름다운 도시의 홍보일역을 담당했고 도시간 교류와 협력을 위해 훌륭한 플랫폼을 마련했습니다. "연길 두만강상담회"의 성공적인 개최와 함께 두만강지역 도시들의 더욱 휘황한 내일을 전망해 봅니다.

(취재, 정리: 박선화)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22 发表于: 2011-07-31
[중앙민족대학 박승권교수의 말]

"물론 추석날 아침에 지내는 차례는 설날에 지내는 차례와 마찬가지로 가문마다 집집마다 예절이 조금씩 다릅니다. 술대신 차를 올리는 가문도 있습니다. 말 그대로 차례(茶禮)인 것입니다. 그리고 설에 떡국을 올리는 대신 추석 차례상에는 메 즉 햇살로 지은 밥을 올리고 설에 떡을 올리는 대신 추석에는 송편을 올립니다. 송편을 빚을 때 예쁘게 잘 빚어야 시집을 잘 간다는 속설도 있습니다. 제물은 가정형편에 맞게 정성을 담아 장만하는것이 예의라고 합니다.

차례를 드리는 절차는 일반 제의와 비슷합니다. 지방에 따라 다르지만 차례를 마치고 성묘하러 가는 경우가 있고 조상의 묘소에 가서 추석차례를 함께 치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성묘는 성묘배분(拜墳) 혹은 배소례(拜掃禮)라고도 하는데 말 그대로 조상의 지내고 있는 집인 음택 즉 분묘에 여름 내내 자란 풀들을 벌초하여 주고 손질하는 것을 말합니다."

남: 네, 중국에는 추석날에 달 모양의 월병을 만들어 조상님께 바치고 달을 감상하며 시를 짓는 풍속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저희도 저희 열성 애청자 최금란님의 시를 준비했습니다. 제목은 <한가위 날>입니다.

여: 네, 이 시는 현재 곡이 붙여져 있는 상태이고 조만간 2인창으로 불려질거라고 합니다. 함께 감상하시죠.

[시-한가위 날]

한가위날 무슨 날, 고향달님 보는 날

너도나도 뿌리내린 고향으로 다니는 날

성의 만든 햅쌀음식 제단상에 올려놓고

조상님을 기리고 핏줄을 웨쳐가네

한가윗날 둥글둥글 일가친척 모여앉아

가족정이 무르익어 보름달님 되었나봐

한가위날 무슨날, 민속꽃이 피는 날

너도나도 대명절에 한복을랑 떨치는 날

고향사람 만풍년에 사물놀이 흥이나고

그네뛰기 널뛰기에 씨름판도 춤이로세

한가위날 둥글둥글 온동네가 모여서

고향정을 무르익혀 보름달님 되었나봐.

---------------------M---------------------

남: 앞서 박승권교수가 추석에는 멀리 집을 나갔던 사람들도 한자리에 모여 따뜻한 마음을 나눈다고 했는데요, 한국은 추석이면 전국민의 75%가 고향을 찾아 전국의 고속도로가 정체되고 열차표가 매진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민족대이동'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여: 하지만 분명 사업때문에 학업때문에 또는 이러저러한 사유로 그리운 고향에 갈수 없는 분들도 있을것입니다.

남: 그중에서도 타향에서 사업하고 있는 직장인들과 대학생들이 주류를 이루는데요, 일전에 선화씨가 몇몇 대학생들을 만나서 그들의 목소리를 담았다면서요?

여: 네, 그렇습니다. 타향에서 추석을 맞는 솔직한 심경과 가족에 대한 애틋한 마음이 담긴 축복어린 말들이였습니다.

[중앙민족대학생들의 말]

학생1: 대학교에서 지낼 두번째 추석은 같은반 애들과 함께 모여서 추석이란 전통명절을 쇰으로서 부모와 함께 못하는 아쉬움을 채우고 싶습니다. 그리고 고향에 홀로 계시는 할머니에게 사랑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학생2: 이렇게 추석을 맞이하네요. 비록 지금은 집에 돌아가 가족과 함께 쇠고 싶지만 안타깝게 갈 수도 없고… ( 많이 아쉽습니다). 하지만 친구들과 쇨 수 있어서 많이 다행이라 생각합니다. 이 자리를 빌어 고향에 계시는 부모님과 할머니, 친척분들에게 추석을 잘 보내라고 축복의 말을 전함과 동시에 항상 건강하기를 기원합니다.

학생3: 곧 추석이 다가오는데, (사실) 저는 고중때부터 매번 추석때마다 침실애들이랑 쇠게 되었는데, 대학교에 올라와서 두번째로 또 친구들과 추석을 보내게 되니 매우 기쁩니다. 비록 부모같은 존재는 아니지만 지금 친구들과의 우정을 소중히 여기고 앞으로도 우리 우정이 변치 말았으면 좋겠습니다.

학생4: 추석에 가족과 같이 쇨 수 없어서 좀 섭섭하긴 하지만, 조문학부는 사생간에는 부모자녀처럼 지내고 친구들사이는 형제자매처럼 지내니까 그래도 즐겁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추석은 향산에 다녀가 단풍구경도 하고 저녁에는 달구경도 하고 월병도 같이 먹으면서 재미있게 지낼겁니다.

학생5: 추석은 한집식구들이 단란하게 모여앉아 함께 하는 뜻깊은 명절이지만 올해 북경에서 홀로 추석을 보내게 되었습니다. 비록 부모님들과 함께 보내지 못해 아쉽기도 하지만 이 곳에서 친구들과 함께 아름다운 달을 구경할수 있는 좋은 명소를 찾아 뜻깊은 추석을 보낼 계획입니다.

남: 네, 전파를 통해 전하는 학생들의 마음이 저 멀리 고향에 계시는 부모, 형제들에게 꼭 전달되기를 바랍니다.

여: 송휘씨, 그럼 저희 방송과 늘 끈끈한 정을 이어오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은 그 분들이 누굴까요?

남: 그건 당연히 저희 방송의 애청자분들이죠.

여: 그렇습니다. 그래서 이번 순서에는 저희 방송을 아끼고 사랑하는 청취자 여러분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마련했습니다.

남: 네, 애청자분들의 축복의 메시지와 함께 그들이 신청한 노래를 함께 감상하겠습니다.

[한국청취자-김길홍]

안녕하십니까. 한국에 있는 광주 cri 청취자 김길홍입니다. 날마다 알차고 좋은 방송이 있어 수고하시는 여러분들이 대단히 감사합니다. 추석을 맞아서 모두들 좋은 나날이 되시길 빕니다. 광주근교에서는 추석맞이 한가위 각종 행사가 열리기도 하고 가정에서는 송편을 빚기도 하고 나물들을 준비하여 차례음식들을 준비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습니다. 성묘당일 전후에서는 성묘를 다녀오느라 교통체증이 심하게 붐비기도 합니다. 추석을 맞이해서 국제방송 조선어부에 계시는 여러분들 가정에도 풍요롭고 아름다운 추석명절이 되시길 간절히 빕니다. 추석을 맞아 희망곡을 부탁드립니다. <향수> 들려주시면 대단히 고맙겠습니다.

[신청곡-향수]

[장춘청취자-최금란]

우리 민족의 전통명절- 한가위날이 다가옵니다. cri가족 여러분들께서 바쁘신 일상을 잠시 접어놓고 이 날만은 온가족이 함께 모여앉아 천륜지락을 누리시고 여러분들의 염원이 저 밝은 십오야 달처럼 둥글어지시기를 진심으로 축복드립니다. 그러면서 노래 한곡 요청하고 싶습니다. 달타령 요청하려 합니다.

[신청곡-달타령]

[연변청취자-박순남]

안녕하세요. 전 중국국제방송국 조선말 방송의 애청자인 연변에 살고 있는 박순남입니다. 그럼 먼저 우리말 방송을 꾸리기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은 귀 방송국 임직원 여러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춥지도 덥지도 않은 은혜로운 축제 날, 추석날에 조상을 찾아 열사비를 찾아 떠나가는 그 사람들, 그들이 들고 있는 그 고운 보자기 속엔 누구에게나 다 제일 생신하고 제일 크고 제일 고운걸로 골라 산 연변의 사과배 만은 꼭 들어있답니다. 한손에 차례 제물을 챙겨들고 또 한손에 소박하게 낫을 들고 성묘, 벌초하러 떠나가는 그 모습이야 말로 실로 우리 민족의 미풍양속이 아니겠습니까? 그 어느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도 몸에 배여 대대로 이어오고 이어가는 그 모습에 전 머리 숙여 존경하게 되면서 마음이 후련하고 아련해 집니다. 끝으로 만백성이 어디에서나 다 바라볼수 있는 희한하고 값진 한가위 보름달을 바라보며 은혜로운 부모님들의 대를 이어 내려온 그 노고에 감사하면서 제가 제일 좋아하는 노래 한곡 신청 하렵니다. 제목은 <부모>, 외지에 있는 아들 딸, 친지, 친구들도 함께 감상했으면 고맙겠습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신청곡-부모]

여: 네, 올해 추석은 국경일 휴가와 겹치면서 사상 최장 연휴가 될거라고 하는데요, 평소에 가고 싶었던 여행지를 찾는것도 좋고 밀렸던 잠을 실컷 자는것도 좋겠구요…평소에 만나지 못했던 친구들을 만나 담소를 나누는것도 좋을듯 싶습니다.

남: 네, 오늘은 추석을 맞아 특집으로 30여분간 여러분들과 함께 했는데요, 정리해보면 추석은 차례를 지내면서 조상들의 음덕을 기린다는 의미도 중요하겠지만 무엇보다도 저 세상에 간 조상도 좋고 아니면 서로 떨어져 오랫동안 만날수 없었던 가족들도 좋고 아니면 같은 동네에 사는 이들도 좋고 모두 한 자리에 모여 함께 수확의 기쁨을 나누면서 화목을 다져간다는데 더 중요한 의미가 아닌가 싶습니다.

여: 네, 그럼 끝으로 각자 우리말 속담으로 오늘 특집방송을 마무리 하면 어떨까요?

남: 네, 좋습니다. 그럼 제가 먼저 할까요? 속담에 "5월 농부, 8월 신선"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5월은 농부들이 농사를 잘 짓기 위해 땀을 흘리면서 등이 마를 날이 없지만 8월은 한해 농사가 다 마무리된 때여서 봄철 농사일보다 힘을 덜 들이고 일을 해도 신선처럼 지낼수 있다는 뜻입니다. 아무튼 열심히 땀흘려 일하시는 농민 여러분들이 대 풍작을 거두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여: 네, 이번에는 제 차례네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가윗날만 같아라>라는 속담이 있듯이 모든 분들이 일년내내 오늘처럼 잘 먹고 잘 입고 잘 놀았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남: 네, 여러분 풍성한 한가위 되시기 바라면서 저희는 이만 인사 드리겠습니다.

여: 지금까지 진행에 송휘, 박선화였습니다.

남여: 여러분 안녕히 계십시오.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21 发表于: 2011-07-31
22 글씨크기

2010년 추석특집방송2010-09-23 15:15:59 cri
http://korean.cri.cn/1820/2010/09/22/1s164801.htm

2010년 추석특집방송



남: 2010년 추석특집방송

여: 2010년 추석특집방송


남: 여러분 전통명절 추석 잘 보내고 계십니까? 송휩니다.

여: 안녕하세요? 박선화입니다. 요즘 추석을 맞은 베이징은 명절의 분위기로 들끓고 있습니다.

남: 네, 추석이나 국경절이 되면 일단 베이징은 온통 꽃 단장을 하는데요. 베이징의 중심이자 중국의 중심인 천안문 광장은 각종 아름다운 화분들로 시민들과 관람객들의 발길을 끌고 있는데요, 올해 추석에 천안문광장에 배치할 화분이 무려 40만개, 화분 품종은 45종에 달한다고 합니다. 정말 대형 꽃 전시회를 방불케 합니다.

여: 네, 추석과 국경절기간 베이징에서는 "나의 베이징 나의 집"2010년 "추석, 국경절 맞이" 시리즈 문화행사들이 전면적으로 전개된다고 합니다. 이번 문화행사에는 19개 주요행사와 각 구, 현에서 조직한 근 200개 문화행사들이 펼쳐지게 됩니다.

남: 전통명절 문화행사를 통해 국제영향력이 있는 중국문화중심으로 부상하려는 베이징시 관련부처의 노력이 엿보이네요. 참, 문화 대도시 답습니다. 이런 행사 외에도 선화씨는 추석 하면은 뭐가 가장 먼저 생각나는가요?

여: 네, 추석하면은 월병을 빼놓을수 없죠. 저는 먹음성이 좋아서인지 월병이 가장 먼저 눈앞에 떠오르는데요. 어릴때부터 월병을 아주 즐겨 먹었거든요.ㅎㅎ

남: 네, 역시 먹거리에 대해 얘기하면 선화씨를 당할 사람이 없죠. ㅎㅎ 요즘은 월병에 다양한 소를 넣어 부동한 맛을 내는가 하면 여러가지 무늬로 장식해 맛도 맛이겠지만 보고만 있어도 배가 부를 정도더라구요.

여: 또한 올해는 추석과 국경 연휴가 이따르면서 10일간의 휴일에 개인 휴가 6일을 합치면 무려16일 까지 쉴수가 있다고 합니다.

남: 이웃나라 한국에서도 민족 최대명절로 불리우는 한가위 연휴를 올해는 최장 9일까지 보낼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동안에 하고 싶었던 일들을 마음껏 하시면서 풍요로운 황금연휴 보내시기 바랍니다.

여: 네, 추석을 맞은 베이징의 모습에 대해 알아 보는 시간으로 오늘 특집프로의 화두를 뗏는데요, 그럼 지방에서는 어떻게 추석명절을 보내고 있는지 궁굼해 지는데요.

남: 그래서 조선족 주요 집거구역인 연변을 비롯한 할빈, 청도, 장춘 등 지의 방송국 아나운서들을 연결해 그 곳들에서는 추석을 맞아 어떤 행사들이 펼쳐지고 있는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변인민방송국-최명옥아나운서]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연변인민방송국의 아나운서 최명옥입니다. 저희 연변에서는 추석 명절을 이렇게 보내고 있습니다. 물론 우리의 전통 명절인 추석 여러가지 행사들이 많이 펼쳐지고 있겠지만요. 바로 추석날 저녁에 연길시에서는 추석맞이 우등불 야회를 거행하게 됩니다. 시민들과 관광객들은 우등불 주위에 모여앉아서 손님이 먹을수 있는 비빔밥, 그리고 감주 전통 음식을 맛보면서 보름달을 감상하고 춤과 노래를 즐길수 있습니다. 이밖에도 추석 민속절, 그리고 용정시의 사과배 따기 축제, 도문시 도문강 농악절과 투우절이 열리게 됩니다. 이처럼 많은 행사들이 모두 추석 명절을 계기로 펼쳐지게 됩니다. 아무래도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지 않을가 생각됩니다. 여러분 모두에게도 풍성한 추석명절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흑룡강조선어방송국-류옥형아나운서]

안녕하십니까, 흑룡강 조선어방송국 아나운서 유옥형입니다. 아마 우리민족 8월 추석하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조상묘를 찾아 벌초하고 햇곡식과 햇과일로 정성을 다해 차린 차례상이 아니겠습니까. 저의 주위를 살펴보면 세월이 많이 변했다고 하지만 추석이 되면 어김없이 조상묘를 찾는 이들이 많습니다. 8월 추석전에 고향을 찾아서 벌초하는 이들도 있고, 조상을 잊지 않고 정성을 다하는 분들을 보면 더욱 존경이 갑니다. 저도 고향을 떠나 오기전까지만 해도 아버지친척들과 함께 조상님들을 찾아뵈었는데요. 조상묘를 찾아가는 길은 고향산천을 머물어 익히는 수련의 행로이지 않습니까. 또 조상들의 삶을 듣는 역사시간이기도 하죠. 그리고 요즘은 추석연휴가 있어서 외지로 관광떠나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이곳 할빈거리 곳곳에서 채색깃발이 휘날리고 대형마트마다 월병을 비롯한 추석음식들을 팔고사느라 보통때보다 많은 인파를 볼 수 있습니다 정말 명절의 분위기가 다분하죠. 이 방송을 듣고 계시는 청취자여러분들께서도 올 추석 가족상봉과 결실의 기쁨 만끽하시길 바랍니다.

[산동성영성방송국-김태송아나운서]

안녕하십니까? 산동성 영성 방송국 김태송입니다. 산동성에서 조선족 최다 밀집 거주지역인 청도시의 조선족 사회도 민족의 전통 명절 추석을 맞는 기분에 한층 들떠있습니다. 타향에서 보내는 추석 명절이라 추석 차례와 성묘를 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올해부터 길어진 추석 연휴로 여가를 즐기고 동족간의 친목을 도모할수 있는 좋은 시간을 만들고 있습니다. 같은 시내에 살면서도 바쁜 일상 때문에 함께하지 못했던 가까운 친척과 친구들을 만나 맛있는 명절 음식을 먹고 그동안의 정보를 교류하면서 몸과 마음을 재 충전하는 시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추석을 맞으면서 청도 조선족 여성협회에서는 70명의 조선족 양로원의 노인들을 모시고 효도 관광을 조직했습니다. 거동이 불편해 주로 집안에만 계셨던 어르신들은 간만의 나들이에 즐거운 하루를 보냈습니다. 이외에도 청도시 조선족기업협회 청도시 조선족 노인협회를 비롯한 청도 한겨레 단체들에서도 다양한 추석맞이 친목 모임을 갖고 화합과 단결을 도모하는 풍성한 추석을 보냈습니다. 이외에 10월 1일 부터 3일 까지 청도 청양구에서 진행되는 2010 청도시 조선족 민속 축제 행사가 요즘 재청도 한겨레 사회 최대 관심사로 되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로 재청도 조선족 이미지 향상과 민족 화합 단결 발전에 적극적인 의미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청취자 여러분들께서 풍성하고 행복한 추석 명절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여: 추석은 정월대보름, 6월 유두, 7월 백중과 함께 보름명절입니다. 보름 명절 가운데서도 정월대보름과 추석은 가장 큰 명절입니다.

남: 대보름은 신년에 처음 맞는 명절이여서 중시되는 반면 추석은 수확기가 시작되는 시기의 보름명절이어서 중시되였습니다.

여: 추석은 또 중추절, 중추가절, 가배, 가위, 한가위라고도 불리우는데, 그중에서도 중추절, 추석, 한가위라고 가장 많이 불리우고 있습니다. 그럼 중추절과 추석, 한가위라는 말이 어떻게 불려지게 되였는지 중앙민족대학 박승권 교수의 소개로 알아 보겠습니다.

[중앙민족대학 박승권교수의 말]

"추석이라는 술어는 <예기(禮記)>의 "추모석월(秋暮夕月)"이라는 구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유종원(柳宗元)은 <朝日說>에서 "석(夕)"자에 대하여 "모견왈석(暮見曰夕)"으로서 저녁에 배알한다는 뜻이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추모석월"은 저물어 가는 가을 달에 친신한다는 뜻입니다.

추석을 또 중추절(仲秋節) 혹은 중추절(中秋節)이라고도 합니다. 이는 전통적으로 일년을 사계절로 나누는 한편 매 계절을 맹(孟), 중(仲), 계(季) 등 세 단계로 나누는 풍습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추석이 가을철 중 가운데 단계인 중(仲)에 위치하여 있다 해서 이렇게 부른 것입니다.

흔히 가윗날을 한가위라고 하는데 이 때의 "한"자는 조선말에서 제일 큰 울을 한울 즉 하늘이라 하고 크게 쉬는 숨을 한 숨이라고 하는 것과 같이 크다는 의미에서 붙여 쓴 것입니다. 그러고 보면 한가위라는 말은 계절 중의 가운데 있으면서 가장 큰 명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여: 그런데 사실 가운데라면 8월15일 보다는 6월15일이 시간상으로 더 적절하지 않은가요?

남: 네, 맞습니다. 하지만 이때는 농망기라 쉴 겨를이 없습니다. 그러나 추석 무렵은 곡식들이 다 여물어 가고 수확하기만 기다리는 시절이라 망중한을 즐길수 있는데다 날씨 또한 덥지도 춥지도 않아 명절로서는 제법인셈이지요

여: 네, 그리고 이 계절에는 과일들이 대량 나오는 시기인지라 일년간 고생한 보람을 피부로 확실히 느낄수 있는 때이니 이때보다 더 큰 명절이 어디 있겠습니까?

남: 네, 그래서 아마 추석을 한가위라고 불렀을것으로 보입니다.

여: 네, 앞에서도 말했지만 추석은 애초부터 농공감사일이였기 때문에 정성들여 명절식을 만들어 조상님께 올려 차례를 지내고 성묘를 하는것이 가장 중요한 행사가 아닐가 싶습니다.

남: 네, 그렇습니다. 비록 몇해전부터 추석이 국경휴일로 정해지면서 해마다 추석 휴가를 보내면서 전통명절이라는 사실을 새삼스럽게 실감하고 있습니다만 도대체 추석 차례와 성묘는 어떤 의미에서 지내는 것이고 절식은 어떤것들을 만들어야 하는지 그렇게 구체적으로 잘 알고 있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것 같습니다.

여: 네, 그럼 이번에도 박승권교수의 소개를 통해 송휘씨와 같은 생각을 갖고 있는 분들의 궁금증을 풀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20 发表于: 2011-07-31
21 글씨크기

와인의 도시 연대에서 열린 제4회 연대 와인축제2010-09-27 17:23:17 cri
http://korean.cri.cn/1620/2010/09/27/1s164920.htm


(음향1: 현장음 깔다가 점차 낮추면서…)

MC: 지난 9월 23일, 제4회 연대 국제와인축제가 아름다운 해변의 도시 연대에서 정식으로 개막됐습니다. 2007년에 처음으로 개최된 연대 국제와인축제는 브랜드를 홍보하고 문화를 계승하며 협력을 도모하는 것을 주제로 올해까지 제4회를 맞이하게 됐습니다. 중국 와인업계에서 유일한 국제적인 대축제, 연대 국제와인축제에 본 방송국 조옥단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이번 순서에는 조옥단 기자와 함께 연대 와인축제 대한 자세한 소식 전해듣겠습니다. 조옥단 기자, 어서오세요.

기자: 안녕하십니까? 조옥단 입니다.

MC: 우선 연대 와인축제에 대해서 소개부터 해주시죠.

기자: 네, 그러죠. 먼저 연대는 중국 최대 와인 생산기지로 아시아에서도 유일한 국제 포도 및 와인도시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현재 연대에는 장유, 중량 장성 등 와인 관련 기업이 150여개나 되고 와인 연생산량이 25만톤에 달해 그 생산량이 전국의 1/3을 차지합니다.

MC: 아, 그래서 연대에서 와인축제가 열리는군요. 연대에서 와인이 난다는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 생산량이 이렇게 엄청난 줄은 몰랐네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이렇게 연대는 중국 최대 와인 생산기지 인것 만큼 지난 2007년부터 국제 와인축제를 개최하기 시작했고 올해까지 제 4회를 맞이하게 됐는데요. 그동안의 발전을 거쳐 현재 연대 국제 와인축제는 국내외 와인업계에서 유명한 전시회로 주목받고 있으며 중국 와인업계에서 대표적인 국제 경제무역 활동으로 성장했습니다.

MC: 그렇군요. 이런 전시회는 중국 국내 와인 업계 발전에 큰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각 나라간 와인 관련 산업 교류에도 좋은 플랫홈으로 될것 같네요.

기자: 맞는 말씀입니다. 바로 그것이 와인축제를 개최하는 목적이기도 한데요. 개막식 축사에서 장조복 전임 산동성 부성장은 와인축제 개최의 의미에 대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음향2: 장조복 부성장. 중국어)

'몇년래 산동은 경제, 사회 등 많은 면에서 비교적 빠른 발전을 가져왔습니다. 한편 산동 연대시는 국내외적으로 유명한 국제 와인의 도시로 성장했고 세계 유명 도시로 거듭났습니다. 와인 축제의 개최는 세계 각국 와인 산업의 교류와 협력에 플랫홈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국 와인 생산, 문화 교류,경제 무역 협력에 좋은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이곳은 전통과 현대화가 함께 전시되고 동방 문명과 서방 문화가 함께 모습을 빛낼수 있는 좋은 자리가 될것입니다.'

MC: 이번 전시회에는 약 1600여개 전시 부스가 설치되고 약 130여개 회사에서 참가했다고 들었습니다. 모두 어떤 계기로 참가하게 됐죠?

기자: 네, 참가회사들은 국내, 국외를 막론하고 당연히 자사 제품을 홍보하고 바이어들을 흡인하는게 가장 큰 목적이 아니겠습니까. 현장에서 몇몇 와인회사들을 인터뷰 했는데요. 전시회에 참가하게된 이유를 직접 들어보시죠.


(음향3:전시 참가회사 1. 중국어)

'전시회 참가목적은 저희 회사 제품에 대해 홍보하고 사업 실적을 올리려는 것입니다. 저희는 전에도 이 와인축제에 여러번 참가했습니다. 그동안 많은 성과도 거두었구요. 현재 저희 제품은 중국 국내에서 판로가 좋은 편입니다.'

(음향4: 전시 참가회사 2. 중국어)

'저희 회사는 연대 현지 회사입니다. 연대 내산구에 있는데요. 이번에는 주로 신제품을 전시하고 관련 바이어들을 흡인하기 위해 나왔습니다.'

(음향5: 전시 참가회사 3)

'이것은 저희 회사 제품의 판촉 방식인 한편 브랜드 홍보 방식이기도 합니다. 또한 저희 회사 와인 문화와 신제품을 전시하는 좋은 기회이기도 하죠. '

MC: 신제품 출시 때문에 시장 동향을 알아보려는 회사들도 있고, 전에 참가한 전시회에서 단맛을 보고 다시 참가한 회사도 있고… 모두 비지니스를 목적으로 하지만 각자 참가 이유가 조금씩 다르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아무튼 이런 전시회가 모두들 한테 도움이 된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MC: 전시회에는 또 중국 국내 회사 뿐만 아니라 해외 와인 회사들도 상당수 참가했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프랑스, 한국 등 외국 와인회사에서 참가했고 또 약 3000여명의 외국 관객과 바이어들이 모여들었습니다. 전시회 현장에서 한국 그랑꼬또 와인을 찾아보게 됐는데요. 김지원 대표이사는 인터뷰에서 연대 와인축제에 참가하게된 계기에 대해서 말했습니다. 들어보시죠.

(음향6: 김지원 대표이사. 한국어)

'작년에 개최된 와인축제에 왔었는데 의외로 중국분들이 한국 와인을 너무 좋아해서 다시 오게 됐습니다. 제품은 물론 각 나라마다 문화 차이가 있긴 하지만 중국과 한국은 거의 문화가 비슷하다고 저는 생각하고 작년에 처음 왔었는데 그렇게 크게 (예상을) 벗어나지 않았어요. 한국에서 좋아하는 그런 와인이기 때문에 중국에서도 좋아할 것이다고 생각했는데 괜찮습니다. 상당히 반응도 좋고 그런 상황입니다. 한국의 와인을 소개하고 또 그랑꼬또 와인을 소개하면서 한국에도 좋은 와인이 있다는것을 중국 소비자들한테 알릴 필요가 있다 첫째는… 일단은 알려야 되고 다음에 드시게 하고 그래야 시장에 진출할수 있으니까 첫번째로 알리기 위해서 왔습니다.'

MC: 사실 와인 하면 프랑스 와인이 가장 먼저 떠오르잖아요. 한국 와인은 중국 사람들한테 좀 생소한것 같아요. 어땠습니까?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던가요?

기자: 네, 나름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많았구요. 한국 와인 전시부스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들었습니다. 현장에서 그랑꼬또 와인을 맛보고 있던 한 관객을 인터뷰 했는데요. 그의 소감을 한번 들어 보시죠.


(음향7: 전시장 관객. 중국어)

'제가 금방 맛본 와인은 향이 참 좋았습니다. 예전에 한국 와인은 마셔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제 금방 마셔봤는데 참 괜찮은것 같네요.'

기자: 한편 한국 동인전람 주식회사 안춘식 전시사업부문 대표는 인터뷰에서 이런 전시회는 중국 소비자나 바이어들과 직접 교류할수 있는 좋은 기회일 뿐만 아니라 기타 나라의 선진 와인 제조기술이나 제품과 비교, 검토할수 있는 좋은 자리라고 말했습니다 안춘식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MC:네, 그러죠.



한국 그랑꼬또 와인

(음향8: 안춘식 대표. 한국어)

'추가적으로 선진 외국 와인 제조 기술이라든지 상품이라든지 이런것들을 서로 비교, 검토를 할수 있겠고 이런 차원에서 오고 또 시장 동향을 조사하는 차원에서 필요해서 전시회에 참여하게 되죠.'

MC: 중국 국내 와인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외국 기업들도 중국에 와서 새로운 상업 기회를 찾을수 있고… 참, 서로서로 유익한 축제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 와인축제에는 와인만 전시됐나요?

기자: 당연히 더 있죠. 올해는 예전과 달리 와인축제 기간에 국제 과일 야채 식품 박람회와 국제 미식축제가 함께 열려 열기가 더욱 뜨거웠습니다. 특히 아름다운 해변가에서 개최된 미식축제가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22일 부터 24일 까지는 또 추석 연휴였잖아요. 그래서 참 많은 사람들이 가족끼리, 친구끼리 모여 와인 전시장에서 와인도 맛보고, 각국 과일들도 먹어보고 또 해변가에서 다양한 음식들도 먹으면서 축제를 즐기고 있었습니다.

MC: 네, 참 듣기만 해도 그 열기를 느낄수 있을것 같네요.

기자: 그렇죠? 그리고 이번 연대 와인 축제는 9월 30일까지 계속됩니다.

MC: 연대 국제 와인축제, 앞으로 중국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 와인업계가 경제 교류 뿐만 아니라 와인 문화, 와인 관광 등 더 많은 영역에서 더 광범위하게 교류하고 협력할수 있는 중요한 플랫홈으로 되길 바라겠습니다. 자세한 소식 전해준 조옥단 기자 수고하셨습니다.

기자: 네, 감사합니다.



미식 축제에 전시된 추석 음식들



미식 축제를 즐기고 있는 사람들

(취재, 편집: 조옥단)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19 发表于: 2011-07-31
20 글씨크기

종교 다원화와 유가사상의 현대적 의의2010-10-14 17:33:19 cri

http://korean.cri.cn/1620/2010/10/14/1s165407.htm


기자: 한국의 유가사상 발전사에 대해 얘기해달라.

김성기 교수: 한국의 유학사상 역사는 매우 깊다. 고구려 이후 남아있는 많은 관련된 기록을 볼수 있다. 고려의 최고 교육기관이었던 태학에서 오경박사를 두고 유교를 가르쳤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신라에도 논어 같은 것을 가르친 기록이 있고 고려시대에도 국자감 등 최고기관을 두고 교육을 했었다. 그리고 조선시대에는 성균관이란 최고학부, 지방에서는 200여개 향교를 두고 사서오경을 위주로 유교사상을 가르쳤다. 또 고구려 이전의 고조선때에도 한국에서 유학이 많은 발전을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기자: 한국에서 유가사상이 널리 전파되고 지금까지 발전해온 원인은 무엇인지?

김성기 교수: 우리는 유교사상을 생활속에, 몸속에 체험으로 구현해온것 같다. 후한서를 보면 동이(東夷)에 관한 기록이 많은데 어진 인(仁)자를 많이 썼고 산해경 같은 기록을 보면 동방 군자지국이라고 써있다. 큰 활을 메고 의관을 정제하고 호양부쟁(互让不争) 즉 양보하기 좋아하고 다투지 않았다는 기록들이 있다. 이런 사상들은 유교의 근원에서부터 한민족과 만났고 한민족의 유전자속에 수천년간 각인되면서 내려온게 아닌가 생각된다. 우리는 삶속에서 어른을 대하고 동생, 친구를 대하는 등 모든 생활속의 의식이 유교적이라고 말할수 있다.

기자: 그럼 한국에서는 유가사상이 하나의 종교로 인식되고 있는가?

김성기 교수: 그렇다. 한국에는 7대종단이 있다. 중국의 5대종단에 유교와 천도교를 더 포함시켰다. 유교를 하나의 종교적의미를 갖고 있다고 본다. 그러나 중국은 유교를 종교에 넣지 않고 5대종교로 나눈다. 한국은 유교를 삶속에 종교화해서 실현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기자: 한국에는 기독교신자가 천만명이상, 불교신자가 천만명이상 달한다. 종교가 다양화됐다고 볼수 있다. 또 유교사상도 깊게 침투돼 있는 상황이다. 그렇다면 이런 여러가지 종교사이에 모순이나 대립같은 것은 없는지?

김성기 교수: 아주 좋은 문제를 지적했다. 한국문화를 파악하는 중요한 요점이라 생각한다. 겉으로 보기에는 기독교신자가 천만명 넘고 불교신자가 천만명정도, 유교는 20만명 전후로 극소수를 차지한다.

그런데 세계종교학자들이 한국의 종교현상을 보고 깜짝 놀란 부분이 있다. 전통종교와 기독교가 만나면 큰 투쟁과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심지어 살상까지 일어났다. 인도, 인도네시아, 예루살렘 등 세계 곳곳에서 종교전쟁이 일어날 정도였다. 그런데 한국에는 이런 마찰이 상당히 적은 원인에 대해 많은 궁금증을 갖고 있었다.

캐나다의 줄리아 칭이란 학자는 한국의 종교현상중에 전통종교와 기독교사이에 뭔가 완충지대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것이 바로 유교라는 것이다. 때문에 그는 한국의 기독교인을 그냥 기독교인보다는 유교적 기독교인이라 불러야 되고 불교인도 유교적 불교인으로 불러야 된다는 참 재미있는 지적을 한적이 있다. 한국의 문화적인 특징 자체에서 유교가 가운데 있기 때문에 모든 종교가 융합을 하고 다원적인 사회를 이루는데 상당히 큰 공헌을 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기자: 유가사상은 이미2500년이 넘는 역사가 있다. 그런데 현대사회에도 분명 적용되기 때문에 중시를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현대사회에서 물질적인 추구가 점점 강해지는 반면 정신적인 건강과 정신문명에 대해서는 소홀시되고 있다. 이런 싯점에서 유가사상, 한국에서 말하는 유교사상은 어떤 현대적인 의의가 있는지?

김성기: 이 문제에 대해 세계문명사가, 철학자, 종교학자들이 모두 고민을 하고 있다. 특히 1960년대 이후에는 문명의 파편화, 문화의 파편화라 할 정도로 기존의 문명 가치관이 흔들리기도 했다. 예를 들면 물질문명, 마약, 환경파괴,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억압 등이 모든 국가의 두통거리로 등장했다. 우리는 이것을 현대문명의 파편화현상이라고 한다. 이것은 서구 위주의 근대문명이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했고 해체되는 싯점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공통된 고민이 뭐냐하면 종교적으로나 문명사적으로 혹은 철학적인 문제에서 새로운 가치관을 창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새로운 문화종합이 필요하다, 어떤것을 우리가 보편적인 가치로 받아들여야 하는지 (등이다). 서구문화, 기독교문화가 한계를 드러내고 있는건 사실인것 같다.

이럴때 그들의 고민은 세가지로 요약할수 있다. 서구문명의 보편적 가치는 모든것을 초자연주의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 또 하나는 너무 신화론적인 세계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것, 또 너무 신중심의 문화였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근대 이후에는 이 문화를 깨뜨리려고 하는 강력한 인간중심주의로 흘러버렸다. 그리고 현대과학에서 기계론적인 세계관이 나왔고 과학지상주의를 내세우는 새로운 철학이 나왔다. 그러다보니 인간은 신도 버리고 자연도 버리고 자연은 정복의 대상으로 전락되고 인간만이 최고의 절대이성을 가진 절대인간의 절대자유라 하는 새로운 가치관이 창출됐다.

그러나 지금 내가 보기에는 근대 인간성의 최고목표인 절대개인의 절대자유라는 목표는 달성했지만 자연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공동체, 우주의 신비로움과 관계를 단절한 인간은 더이상 고독과 외로움, 쓸쓸함에서 벗어날수 없는 처절한 인간형이 돼버렸다. 그렇게 본다면 새로운 물질문명과 새로운 종교관에 대응할수 있는 가치관을 창출해야 된다. 그럴때 유교는 자연관, 인간관, 우주관 등 면에서 다양한 재해석의 여지를, 무궁무진한 재해석의 여지를 주고 있다고 볼수 있다.

(취재, 편집: 안광호)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18 发表于: 2011-07-31
19 글씨크기:

생활문화기업-CJ2010-10-22 17:53:17 cri
http://korean.cri.cn/1620/2010/10/22/1s165680.htm

21세기 위대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CJ

(음향-1,공항 탑승 안내방송)


"前往仁川的旅客请注意,您乘坐的AE334次航班、CA5003次航班现在开始登机......"


(음향-2,기내 스튜어디스의 인사말)


"안녕하십니까,탑승 번호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녜, 고맙습니다.


이쪽으로 오시겠습니다."


"어서오십시오, 반갑습니다."


(음향-3,비행기 이륙 효과음)


(음향-4, 류우익 주중 한국대사의 말)


"(현재) 한중 간에는 하루에 비행기가 120대가 뜹니다. 하루에 120대 비행기가 오가는 국가 관계는 지구상에 한국과 중국 밖에 없습니다."(자료 음향)


류우익 주중 한국대사는 올해 5월 본 방송국의 특별 인터뷰를 수락한 자리에서 이와 같이 밝혔습니다. 두 나라가 지리적으로 인접해 국경을 맞대고 있기도 하지만 두 나라가 경제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얼마나 가까운 나라인가를 실증해 준 것입니다.


1992년 중한 수교가 이루어진 이래, 두 나라는 인접한 지리적 위치와 문화의 유사성, 상호 보완적인 경제구조를 바탕으로 정치, 경제, 문화, 교육 등 전반에 걸쳐 거족적인 발전을 이룩해 왔습니다.


갈수록 많은 한국인들이 대중국 업무를 하고 있고 한국 기업들의 중국 진출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전 세계 기업들이 몰려든 중국 시장에서 예상치 못한 돌발 변수로 좌절을 겪는 기업들이 있는가 하면 현지의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해 쓴 잔을 들어야 하는 기업들도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 치열한 각축장에서도 깊은 통찰력과 현지 역량의 효율적인 활용, 선도적인 마케팅 및 브랜드 전략으로 차분하게 안착하여 중국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 잡고 있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는 한국 최대의 식품기업 CJ그룹이 그 소수 성공 사례 중 하나입니다.

~브릿지~

한국을 넘어 세계로 향하는 글로벌 CJ, 건강, 즐거움, 편리를 창조하는 제일 좋은 생활문화기업 CJ, 그 행복한 세상으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1993년 삼성그룹과 분리해 독립 경영을 선언한 CJ는 1953년 설립한 제일제당이 그 모태입니다.


1953년 한국 최초로 제당 사업을 시작한 제일제당은 제분 사업에 뛰어들면서 도약하기 시작했고 그 이후로 식품, 바이오, 제약 등 다양한 분야로 다각화를 실시하면서 규모와 범위 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해 왔습니다.


박근태 CJ중국본부 대표의 말입니다.






사진설명: 브리핑 중인 박근태 CJ중국본부 대표



(음향-5,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CJ그룹은 1953년 설립됐습니다. 제당 제분 등 식품 소재 사업을 시작으로, 다양한 식품 사업으로 사업을 확대했습니다. 1991년에는 한국 식품 기업 최초로 매출 1조를 돌파하여 명실상부한 한국 식품기업의 선두주자로 확고히 자리잡았습니다. 1993년 삼성그룹과 경영을 분리하여 사업군을 확대하기 시작했습니다. 식품, 외식서비스, 생명공학, 신유통, 엔터테인먼트 등 4대 사업군을 구축하면서 한국 최대 식품기업에서 한국 최고의 생활문화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2002년CJ는 CJ그룹을 출범하고 식품과 식품서비스, 생명공학, 신유통,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 등 4대 핵심 사업에 대한 지속적인 선택과 집중의 경영을 통해 핵심 사업 부문을 더욱 강화한 한편, 글로벌 전략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면서 한국을 넘어 전 세계로 향하는 글로벌 CJ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CJ인재원 부원장 조성형 상무의 말입니다.






사진설명: 브리핑 중인 조성형 상무



(음향-6, CJ인재원 부원장 조성형 상무의 말)


"CJ가 추구하는 비전은 궁극적으로 글로벌이 인정하는 생활문화 기업이 되고자 하는 것입니다."


제일 좋은 생활문화기업 CJ, 한국인에게는 이미 즐거움의 또 다른 이름이지만 본격적인 글로벌 생활문화기업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세계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CJ에게 세계 진출은 단순한 해외투자 그 이상을 의미합니다. 세계를 놀라게 하는 기술과 아낌없는 투자, 현지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 모여 이루어지는 또 하나의 창조이기 때문입니다.


중국과 인도네시아에서 우수한 성과를 이루어낸 바이오 식품사업, 그리고 필리핀과 베트남에서 추진한 성공적 사료 사업 등은CJ의 글로벌 진출을 나타내는 훌륭한 모델입니다.


그중에서도 줄기차게 발전하고 있는 CJ 중국 사업은 CJ가 글로벌 기업으로 탈바꿈하는데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CJ 세계 진출의 초석이 된 중국 진출은 1990년대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입니다.






사진설명: 박근태 CJ중국본부 대표



(음향-7,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1990년대 중반 식품사업이 현지 공장을 설립하여 중국에 진출했습니다. 식품사업을 필두로 2002년부터 2005년까지CJ의 핵심 사업군인 식품외식사업, 생명공학, 신유통, 엔터테인먼트가 모두 중국에 진출했습니다."


현재 CJ중국 사업의 총 투자 규모는 4억달러, 향후 이 수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사업별 투자 규모를 보면 생명공학 사업인 요성 바이오에 약 2억달러로 전체 투자액의 약 50%를 차지하고 그외 식품, 사료, 홈쇼핑, 영화관 등에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음향-8,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특히 생명공학은CJ 글로벌 사업의 큰 축으로 중국,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에 현지 법인과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R&D역량을 바탕으로 생명공학은 앞으로도 중국 투자를 확대하면서 사업 경쟁력을 제고해 나갈 것입니다. "

현재CJ그룹은 아시아, 미주, 유럽 등 주요 국가에 63개 법인을 두고 있습니다. 그중 중국의 19개 성시에 30개 법인을 두고 있습니다.


이토록 외국 기업과의 적극적인 합자 법인을 통해 안정적인 원료 수급과 판매망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중국 할빈에 설립한 쌀 미강 단백질 공장은 대량의 쌀 미강 원료를 공급받기 위해 아시아 최대의 곡물 기업인 중국의 북대황그룹과 합자법인을 세웠고, 필리핀 다바오 지역에 설립한 코코넷쉘 자일로스 공장은 필리핀 기업과 한국 빙그레, 일본 도요타 통상 등 기업과 제휴했습니다.


이외 이상그룹과 설립한 '백옥두부'-베이징올림픽 당시 올림픽 선수촌의 공식 식품 목록에 올랐던 '백옥두부'는 현재 중국 베이징 두부 시장의 70%를 점유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고, 2004년 상해 SMG와 설립한 동방CJ홈쇼핑은 2006년 흑자 전환에 성공한 뒤 해마다 매출 신기록을 세우고 있고, 2008년 천진방송국과 설립한 '천천CJ'홈쇼핑도 줄기차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입니다.


(음향-9,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2006년부터 일부 사업은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면서 중국 기업과의 전략적 합작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했습니다.상해 SMG와 설립한 동방CJ홈쇼핑, 이상그룹과 설립한 북경의 백옥두부, 천진방송국과 설립한 천천홈쇼핑 등이CJ의 한중 합작사업을 성공적으로 안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4대 핵심사업의 중국 진출 완료와 중국 사업 포트폴리오가 자리를 잡아가면서 최근 몇년간 CJ중국 사업은 가파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04년 5억인민폐에 불과하던 매출이 6년간 연평균 60%의 성장율을 육박하며 올해는 매출 72억인민폐를 목표로 세우고 있습니다.


(음향-10,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이 같은 성장세를 유지하며 창립 60주년이 되는 2013년에는 매출


2200억 인민폐를 달성할 것입니다. 전체 매출의 30%이상을 해외 사업에서 달성하고 특히 중국에서 해외 매출의 절반 이상을 달성하여 글로벌 기업으로 위상을 구축할 것입니다. 이는 중국 사업적으로 현재 한국 내 CJ위상에 해당하는 수준의 사업을 운영하며 중국 내 제2의CJ를 건설하는 의의가 있습니다."


브릿지~


여러분은 지금 '건강하고 맛있는 생활, 여유로운 문화생활, 편리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창조'해 가고 있는 CJ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토록 승승장구하고 있는 CJ의 중국 사업이 지금처럼 순조롭기만 했던 것만은 아닙니다. CJ역시 중국 진출 초기에는 많은 시행 착오를 겪으며 사업에서 쓴 맛을 보기도 했습니다.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입니다.


(음향-11,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1990년 중반, 내몽고에 야심적으로 전개했던 제분사업은 원료, 시장 입지외에도 중국의 세법에 대한 이해 불충분 등으로 철수해야 만 했습니다. 또한 한국에서의 역량과 여유 설비를 바탕으로 추진한 육가공 사업도 뚜렷한 사업전략의 부재로 2007년 정리했습니다. 외식사업에서도 면 전문점을 운영했지만 브랜드 역량 구축에 실패하여 진출 4년만에 운영을 접었습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도 있듯이 시행 착오의 고배를 들이키면서 쌓아온 노하우가 경쟁력의 원천이 됐습니다.


박근태 대표가 들려주는 중국사업 성공 노하우를 들어봅니다.


(음향-12,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중국 사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출전 치밀한 시장조사와 정보수집이 필요하며 전략적 투자와 운영이 우선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한 진출 후에는 사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현지화 역량을 갖추고 차이나 인 사이트를 바탕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요구에 부응해야만 합니다."


끊임없는 시장 모니터링, 현지 전략 개발, 우수한 현지 인재 발굴과 육성, 브랜드 경쟁력을 제고하고, 투자에 있어서는 선택과 집중이라는 전략을 전개하며, 또한 현재 운영 중인 사업이라고 해도 냉정하게 평가하여 투자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에 따라 그룹의 역량을 집중하는 것이 CJ만의 장밋빛 미래를 열어가는 비결입니다.


(음향-13,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앞으로 CJ는 역량 보유 사업을 통한 거점 확보, 소비자 점접 사업, 성장 사업간 시너지 제고라는 삼단계 전략에 따라 중국 사업을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그외 현재 사업 성적이 두드러지는 것은 아니지만 미래 성장 가능성이 보이는 식품, 사료, 물류 등의 사업도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하며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고 브랜드 영향력을 높일 것입니다. 이를 통해 4대 핵심 사업이 서로 시너지 효과를 발생할 수 있도록 사업간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중국에서 가능한 새로운 사업과 성장 동력 모색을 지속할 것입니다."

~브릿지~


중국의 새로운 홈쇼핑 바람을 일으킨 동방CJ, 동남아 한류 열풍의 근원이 되는CJ의 엔터테인먼트와 미디어사업, 중국과 미국에서 거점을 확보해 가고 있는 CJ의 멀티플렉스 극장 사업, 고품격 식생활 문화를 선도하는 뚜레쥬르까지, 글로벌CJ의 꿈은 하나씩 실현되고 있습니다.






사진설명: 한국 내 CGV극장의 일각



오늘의 CJ가 있게 된데는 CJ만의 온리원 정신-"최초, 최고 그리고 남과 다른 것을 추구"하는 온리원 정신이 밑받침되었기 때문입니다.


CJ인재원 부원장 조성형 상무의 말입니다.


(음향-14, CJ인재원 부원장 조성형 상무의 말)


"CJ는 온리원이라는 고유한 경영원칙이자 철학을 갖고 있습니다. 제가 올해로 입사한지 24년째인데, 제가CJ에 들어와서 회장님으로부터 제일 많이 들은 용어가 온리원입니다. 온리원은 우리가 하고자 하는 사업이나 일하는 방식에서 온리원적인 것을 추구하자는 것입니다."


최초는 창의를 기반으로 고객이 새로운 가치를 느끼는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 최고는 고객이 최고로 가치를 인정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차별화는 남다른 제품과 서비스, 일하는 방식으로 더 나은 가치를 창출하는 것입니다.


CJ의 온리원 정신은 제품에도 스며들어 있을 뿐만아니라 일하는 방식이나 프로세스, 시스템에도 녹아있습니다.


이러한 온리원 정신을 바탕으로 CJ는 2013년 중국에서 제2의 CJ를 건설하는 중장기 목표뿐 아니라, 더욱 큰 장기 목표를 품에 안고 세계를 향하고 있습니다.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입니다.


(음향-15, 박근태CJ중국본부 대표의 말)


"강한 도전 정신과 열정을 바탕으로 CJ는 2020년에는 매출 100조(한화)기업으로 성장하며 그룹의 장기 목표인 그레이트CJ를 달성할 것입니다. "


한국을 넘어 더 넓은 세계를 향하는 CJ의 도전, 그것은 바로 전 세계 모든 곳에서 제일 좋은 생활문화기업 CJ가 만드는 새로운 즐거움을 만나는 것입니다.


세계에서 사랑받는 21세기 위대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CJ, 오늘도 벅찬 새날을 열어가며 미래를 향해 달리고 있습니다.


(음향-16, CJ지가 올리면서)


(벅찬 새날을 열어요~손에 손을 맞잡고 미래를 향해서 달려 나가요~멀리 더 높이 날아요~하늘같은 기쁨을 만들어 가는 곳 함께 즐겨요~WE ARE THE BEST CJz~)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17 发表于: 2011-07-31
18  글씨크기

중조 친선의 밝은 미래2010-11-03 18:46:22 cri
http://korean.cri.cn/1620/2010/11/03/1s166052.htm


방송듣기

(음향1: 기념행사에 참여한 인사들의 말)

"번영하고 활력이 넘치는 새 중국 건설에 많은 인재들을 육성하여 이바지하였으며…"

"조중 두나라 로세대혁명가들이 물려준 친선의 바통을 넘겨받아 조중친선의 대를 이어가는데 이바지해 나가겠습니다."

아나: 2009년 중조 두나라는 수교 60주년을 계기로 두 나라 관계역사상 첫 "친선의 해"를 성공적으로 맞이했고 세인들에게 눈부신 중조친선협조관계를 과시했습니다. 다년간 쌍방은 경제와 문화, 예술, 교육 등 다분야에서 활발한 교류활동을 가져 두 나라의 상호이해를 깊이 하고 친선의 정을 두터이 했습니다.

그중에는 중조 두나라 친선의 전통을 잘 알고 아름답게 꽃피워나가기 위한 청소년들의 친선교류활동이 두 나라 지도자들의 관심속에서 적극 진행되고 있습니다.


(음향2: 베이징시5중 김일성반 학생 합창 "김일성장군의 노래")

아나: 베이징시제5중학교 "김일성반" 학생들이 부르는 "김일성장군의 노래", "김일성반" 명명 60주년 기념행사에서는 중조 두나라의 사생들이 하나가 되어 뜨겁게 열창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베이징시제5중학교 "김일성반"과 조선동평양제1중학교 "모택동반"은 두나라 수령들의 관심과 배려속에서 축하편지 교환, 친선모임 진행, 대표단교류 등 다채로운 우호교류활동을 통해 두나라 청소년과 인민들사이의 친선의 정을 깊이 해왔습니다.



전영진 조선대외문화연락위원회 부위원장

(음향3: 전영진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부위원장 말)

"조중친선협회 중앙위원회는 베이징시제5중학교 "김일성반" 명명 60돌에 즈음하여 귀 학교의 교원학생들과 공무원들을 통해 전체 교직원 학생들에게 열렬한 축하와 따뜻한 친선의 인사를 보냅니다."

아나: 전영진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부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조선동평양제

1중학교 교장과 "모택동반" 담임선생님 등 5명으로 이루어진 조선대표단은 "김일성반" 명명 60주년을 계기로 베이징제5중학교를 방문하여 따뜻한 친선교류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조선동평양제1중학교 강상복 교장

(음향4: 조선동평양제1중학교 교장 말)

"김일성반의 명명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동지에 대한 중국인민의 높은 존경심의 표현이며 우리 인민의 정의의 위업에 대한 지지성원으로 됩니다."

아나: 조선동평양제1중학교 강상복 교장은 학교 전체 교직원학생들이 베이징제5중학교에 보내는 따뜻한 인사를 전하면서 "김일성반"과 "모택동반"의 특별한 감정, 그리고 이 두 반이 두나라 관계발전에서 발휘하는 특별한 역할을 얘기했습니다.



베이징제5중학교 상금화 교장

(음향5: 베이징5중 상금화 교장 말—중국어)

아나: 김일성반에서 학업을 마치고 사회에 진출한 학생들은 국가의 우수한 건설인재와 각계 전문가로 발전하여 조국의 사회주의 건설을 위해 큰 기여를 하고 있다며 소개하는 베이징제5중학교 상금화 교장, 그 말 속에는 "김일성반"에 대한 자부심과 기대감, 그리고 노세대혁명가들이 고귀한 재부로 물려준 친선의 바통을 잘 이어받고 있다는 뜻이 스며 있습니다.

(음향6: 동평양중학교 교장 말)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1995년 김일성반 명명 45돌과 2002년에 많은 선물악기들을 보내주시고 이번에 또 다시 김일성반 학생들이 더욱더 활발하게 성장하도록 손풍금을 배려해 주셨습니다."

(음향7: 베이징5중 학생 손풍금 독주)

아나: "김일성반" 학생의 손풍금 독주, 바로 김정일총서기가 증송한 "은방울" 손풍금으로 연주한 것입니다. 현장을 깊이 매료시킨 아름다운 손풍금소리, 학생이 연주한 것은 연주곡 "꽃과 소년"이 아닌 중조 두나라의 뜨거운 친선의 정이었습니다.

(손풍금독주 계속…)



김정일 총서기가 증송한 손풍금으로 연주하는 베이징제5중학교 "김일성반" 학생



조선동평양중학교 모택동반 학급장 김설송 학생

(음향8: 동평양중학교 모택동반 학급장 말)

"우리는 앞으로 조중친선의 상징으로 되는 모택동반에서 공부하는 영예를 안고 조중 두 나라세대혁명가들이 물려준 친선의 바통을 넘겨받아 조중친선을 대를 이어가는데 이바지해 나가겠습니다."

아나: 조선동평양제1중학교 "모택동반" 학급장인 김설송 학생의 말에서 학습과 생활을 더 잘하여 나라의 기둥감으로 자라나고 중조 친선을 위해 큰 기여를 하려는 굳은 의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중국 전 조선주재대사로 있었던 무동화 중조우호협회 회장은 "김일성반" 명명 60주년 기념행사에 참가하고 깊은 감회를 전했습니다.



중조우호협회 무동화 회장

(음향9: 무동화 중조우호협회 회장 말- 중국어)

더빙: "이번 활동에 참가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중조 두 나라의 뜨거운 친선관계를 재차 확인할 수 있었고 두나라의 전통우정 계승사업이 잘 될 수 있을거라는 굳은 신심을 얻게 되었습니다."

아나: "김일성반" 명명 60주년 기념행사를 포함해 최근 중조 두나라의 여러분야에서의 우호교류 활동이 적극적으로 전개되고 있고 중조 두나라의 친선관계는 눈부신 미래가 있다고 전영진 조선대외문화연락위원회 부위원장은 얘기했습니다.

(음향10: 전영진 부위원장 말)

"최근년간 우리 두나라 친선관계는 최고도에 이르고 있습니다. 특히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동지께서는 지난 5월과 8월 두차례 걸쳐 중국을 방문해 존경하는 호금도동지와 뜻깊은 상봉을 하셨으며, 이 기회를 통해 두 나라 관계문제 국제관계문제에서 모든 토론에서 견해일치를 보았습니다. 이것은 두 나라가 앞으로도 온갖 시련과 고난을 뚫고 계속 친선관계를 강화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라고 생각합니다."

(음향11: 음악"茉莉花"얕게 깔면서…)

아나: 중조 두나라의 친선관계가 새로운 높은 단계에서 끊임없이 강화발전되고 있는 현시기, 청소년들의 우호교류는 중조 두나라 친선의 전통을 이어받고 더욱 밝은 미래를 맞이하도록 합니다. 지금 듣고 계시는 음악 "말리꽃"처럼 중조 두 나라의 친선의 꽃은 더욱 아름답게 활짝 피어날것입니다.



(취재, 정리: 박선화)


级别: 管理员
只看该作者 16 发表于: 2011-07-31
17 글씨크기

韓선수단장"日 제치고 종합 순위 2위 달성"2010-11-12 15:24:56 cri
http://korean.cri.cn/1620/2010/11/12/1s166398.htm


10일 있은 한국 선수단 입촌식 일각

제16회 광주아시안게임이 화려한 개막을 앞두고 있다.

13일부터는 각국 선수단의 본격적인 금맥 캐기가 시작되게 되는데, 그중에서도 한국과 일본의 순위다툼이 최대 볼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광주아시안게임에서 한국은 1998년 방콕아시안게임 이래 4회 연속 종합 2위 수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이기흥 한국 선수단 단장은 확고한 신심을 보였다.



공항에 도착한 이기흥 한국 선수단장

【음향-1,이기흥 단장】

"국민 여러분께서도 많은 성원을 보내주시고 또 여러 기업에서도 후원을 많이 해주셨습니다. 선수들이 그동안에 갈고 닦은 기량을 이곳 광주에서 유감없이 발휘해서 우리 대한민국 선수단이 목표로 한 금메달65개 이상 반드시 획득해서 4회 연속 종합 2위의 위업을 기필코 달성하고 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아시안게임에 한국은 역대 최대 규모인 1013명으로 구성된 선수단을 파견했다. 그중 선수가 789명, 임원이 224명이다.

한국은 크리켓을 제외한 41개 종목에서 메달 경합을 벌이게 된다.

지난 9일, 선수와 임원 130여명으로 구성된 선수단 본진이 광주에 도착했고 10일에는 야구와 남자 농구, 남자배구, 남자 핸드볼, 역도, 유도, 무술 등 종목의 선수들도 광주에 육속 도착했다.

본진과 함께 광주에 도착한 선수들 중에는 한국의 수영 명장-박태환도 들어있었다.

광주에 도착한 소감을 묻자 박태환은 이렇게 말했다.

【음향-2,박태환】  

""도착했는데요, 굉장히 설레는 마음도 있고 시합에 대한 실감이 조금씩 나는 것 같습니다. 이번 시합에서 경쟁이라기 보다는 제 자신과의 싸움이 제일 중요한 것 같구요, 모든 선수들도 가장 위협이 될만한 선수들도 굉장히 많기 때문에 그런 선수들을 하나 하나 신경 쓰게 된다면은 굉장히 머리가 너무 아플 것 같아서 제 자신과의 싸움을 항상 조심적으로 삼아서 해야 될 것 같습니다.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잘 훈련을 해서 시합에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열심히 하겠습니다."

2006년 도하아시안게임에서3관왕에 오르며 한국 선수로는 최초로 대회 MVP(최우수선수)로 선정됐던 박태환은 아시안게임에서 2회 연속 3관왕에 오르는 신화를 창조할 각오다.

이번 대회에서남자 자유형 100m、200m、400m、1500m와 단체400、800m와 남여 혼합 400m경기 등 총 7개 종목에 출전하게 되는 마린보이 박태환은 금메달 목표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음향-3,박태환】  

"금메달보다도 기록싸움이 굉장히 심할텐데, 일단 좋은 기록으로 승부할 거구요, 열심히 준비한 만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박태환은 14일 남자 자유형 100 m로 광주아시안게임 첫 경기를 맞이하게 된다.

(CRI-한창송, 안광호)



아시아 선수촌 공소경(우)촌장과 선물 교환중인 정인철(좌) 조선 선수단장



아시아 선수촌 공소경(우)촌장과 선물 교환중인 정인철(좌) 조선 선수단장



입촌식을 마치고 퇴장하는 아릿다운 조선 선수단 일원



입촌식을 마치고 퇴장하고 있는 조선 선수들
描述
快速回复

您目前还是游客,请 登录注册